식민지 조선은 커다란 노예농장?

일제시대에 조선총독부가 조선인들을 수탈했다는 죽창 한국사학자들의 주장은 일제시대의 경제체제가 시장 경제가 아니라 명령 경제였다는 말과 같다. 명령경제(command economy)란 공산주의 체제처럼 국가가 어떤 물건을 얼마만큼 생산하고 소비할지를 결정하는 체제를 말한다. 반면 시장 경제는 생산과 소비 결정이 개인들에게 맡겨져 있는 체제를 가리킨다. 명령 경제에서는 강제 노동과 물품 배급이 이루어진다. 시장 경제에서는 자발적인, 즉 강제되지 않은 거래가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시장경제에서는 수탈이라는 말이 성립할 수 없다.

스페인은 encomienda라고 불리는 강제 노동 제도를 통해 라틴 아메리카를 식민지로 지배했다.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를 점령한 뒤 cultuurstelsel이라는 제도를 도입했는데 여기에서도 강제 노동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은 조선총독부가 관리하는 커다란 노예 농장이 아니었다. 소비와 생산 결정은 시장 메카니즘을 통해 이루어졌다. 일제시대에 기업이나 소비자들은 조선총독부의 명령에 따라서가 아니라, 어떻게 하는 것이 제일 자신에게 득이 되는지를 생각해서 물건을 생산해서 내다 팔고 필요한 물건을 시장에서 사서 소비했다.

시장경제가 발전하면 지역간 가격 격차가 줄어든다. 상인들이 가격이 싼 곳에서 물건을 사서 비싼 곳에 내다 팔아 돈을 벌려고 하므로 원래 물가가 쌌던 곳에서는 수요가 늘어나 물건 값이 오르고 원래 물가가 비쌌던 곳에서는 공급이 늘어나 물건 값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위 그림은 지난 3 세기 동안의 경상도와 전라도 사이의 쌀값 격차 추이를 보여 준다.* 일제 시대의 쌀값 격차는 해방 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조선 후기에는 경상도와 전라도 사이에 엄청난 쌀값 격차가 존재했었다.

즉 식민지 조선에서는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은 시장 경제가 작동했다. 조선총독부가 농민들에게 강제로 쌀을 생산하게 해서 필요한 만큼 일본으로 가지고 가는 그런 세상이 아니었다. 반일종족주의에 실린 논문들은 이차대전이 터지자 정부가 노동력 및 섹스 배분에 개입하기 시작했지만 그것은 시장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로 강력한 것이 아니었으며, 시장에 크게 의존했음을 보여준다.


* 쌀값 격차 = 쌀값 변이 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 경상도와 전라도 쌀 값의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비율

차등 원칙 difference principle

John Rawls는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나도 그 이름을 알 정도로 유명한 철학자다. 이 양반이 정의론 (A Theory of Justice)이라는 책에서 이런 얘기를 했다고 한다.

평등한 체제와 불평등한 체제가 있다고 하자. 평등한 체제가 아니라 불평등한 체제 아래서 최하 소득 계층의 상황이 개선된다면 도덕적 정당성을 갖는 것은 평등한 체제가 아니라 불평등한 체제다 라고. 이런 생각을 차등 원칙 (difference principle)이라고 한다고 한다.

불평등은 조선 후기에 비해 일제시대에 더 심했을 것이다. 소작지율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일본 사람들의 소득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조선에 들어와 있던 일본 사람들은 희소한 생산 요소인 토지나 인적 자본을 보유한 사람들이 었고 지대 (=토지 소유자에게 돌아가는 보수)와 숙련 노동자 임금 (=인적 자본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보수)가 막 노동자 임금 보다 빠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식민지 조선에 비해 평등한 사회였던 이씨 조선 사회의 하층 계급인 죄수, 살해 당한 사람, 선원, 군인 같은 사람들의 키가 줄어 들고 있었다는 연구를 아래 포스팅에서 소개했다 (군인은 조선 시대에 하층 계급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양반은 군대에 가지 않았으며 부패가 만연했으므로 사는 사람들은 군역을 회피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씨 조선보다 불평등한 사회였던 식민지 조선에서는 행려 사망자 (길에서 얼어 죽거나 병들어 죽거나 굶주려 죽거나 한 사람들)의 키가 커지고 있었다는 연구를 더 아래 포스팅에서 소개했다. 행려사망자가 최하층 계급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키는 생활수준의 변화를 알려지는 지표로서 흔히 사용된다. 그러므로 위의 신장 증거는 비교적 평등했던 후기에는 최하층의 생활이 악화되고 비교적 불평등했던 일제시대에는 호전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렇다면 차등 원칙을 주장한 John Rawls가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한 것은 조선 체제가 아니라 일제의 식민지 체제가 아니었을까?

신장 수축은 북한에서도 일어났다.

Sunyoung Pak, Daniel Schwekendiek, and Hee Kyoung Kim

“Height and living standards in North Korea, 1930s-1980s,” Economic History Review, 2011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468-0289.2009.00509.x

The adult stature of 6,512 North Korean refugees born from the 1930s to the 1980s was employed as an indicator of living standards in North Korea. The height of North Koreans born befor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exceeded that of their South Korean peers. All North Korean cohorts born thereafter were shorter than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North Koreans did not experience a meaningful secular increase in height during 60 years of communism. A consistent and positive effect of about 1–2 cm for high educational status was found when height was regressed on birth decades, education, regional origin, and occupation.

조선 후기에 사람들은 점점 작아지고 있었다

자료: 조영준 차명수 (2012)

가로축: 출생년

세로축: 자(尺)

위 그림은 조선시대 각종 자료에 나온 신장 기록을 이용해 추정한 평균 신장

단위는 자(尺) 인데 오늘날 한 자는 약 30센티. 그러나 조선 후기에 한 자가 몇 센티인지는 지역마다 달랐고 각각 몇 센티에 해당하는지는 모른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중요한 것은 수준이 아니라 변화 방향 (추세)

하락 추세와 정체만 보이며 상승 추세는 발견되지 않는다

조영준 차명수, 조선 중,후기의 신장 추세, 1547-1882, 경제사학 2012

👉http://www.kehs.or.kr/xe/journal/1891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 왕조의 군사 및 사법 당국이 남겨 놓은 신장 측정 기록을 이용해 1547-1882년간 성인 남성의 신장 추세를 추정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시기에 이루어진 11종의 신체 검사 기록이 분석되었다. 신장 측정의 단위는 모두 尺이었지만, 척도의 길이는 제 각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1종의 자료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신분, 천연두, 출신 지역이 신장에 미친 영향을 식별하고, 신장의 시간 추세를 추정하였다. 각 자료에서 계산된 시간 추세는 조선 중・후기에 신장이 추세적으로 감소했을 확률이 높으며 증가했을 확률은 낮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신장 증가 추세, 1910-95

1940년 이전뿐 아니라 노동자 위안부 강제 연행이 이루어졌다는 이차 대전기에도 키는 커지고 있었다

가로축: 출생연도

세로축: 국민건강영양조사 마이크로 데이터를 이용한 남자 (점선) 여자 (실선) 20대 신장 추계 (추계 방법은 아래의 체중 추세에 관한 포스팅을 보라)

점: 김두얼과 박희진이 추계한 행려 사망자 평균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 참조)

파선: 교육부가 발표한 17세 남녀 학생 평균 신장

일제시대 경제성장은 실화?

조선총독부가 만든 통계를 가지고 추정한 일인당 생산이 1911-40년간 연 2.3%씩 증가했다는 주장은 믿어도 되나?

국제적, 역사적 데이터를 분석한 Steckel(1995)에 따르면 일인당 생산이 1% 증가하면 평균 신장이 0.0397센티미터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1911-40년간 일인당 생산이 연 2.3%씩 증가했다면 신장은 2.4(=0.0397 x 2.3 x 29)센티미터 정도 증가했어야 했을 것이다. 이는 김두얼과 박희진이 행려사망자 신장 측정 기록을 가지고 추정한 신장 증가 2.1센티미터와 비슷하다.

Steckel(1995) 논문은👉🏿 https://search.proquest.com/openview/096fcc8040ca38e5b9b48a483b5a2688/1?pq-origsite=gscholar&cbl=40735

1910-40년간 일인당 생산 성장율=연 2.3%

생활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일인당 생산입니다. 이는 총생산을 인구로 나눈 값입니다. 낙성대경제연구소 멤버들은 2000년대에 식민지기 국내총생산(GDP) 및 인구 추계 작업을 했습니다. 그 결과는 1910-40년간 인구가 연 1.3%, 총생산이 연 3.6%, 따라서 일인당 생산이 연 2.3% (3.6%-1.3%) 씩 증가했음을 보여 줍니다. 이는 2018년 일인당 생산 증가율과 같으며, 20세기 전반 세계경제 평균 일인당 생산 증가율의 두 배를 넘는 것입니다.

이 추계는 U.N.이 권장하는 국민계정 체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국내총생산 추계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 결과는 저와 김낙년의 공동 논문으로 2012년 SSCI 학술지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에 발표되었습니다👇

Myung Soo Cha and Nak Nyeon Kim, “Korea’s First Industrial Revolution 1911-1940”,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49(1), 201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14498311000428

기아와 기적의 기원: 한국경제사 1700-2010

2014년 발간된 제 책을 광고합니다.

반일종족주의와 같이 읽으면 일제시대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출간된지 5년이 지났지만 죽창 한국사학자 어느 누구도 자신들의 주장을 정면으로 , 100% 반박하는 이 책의 내용 어느 부분에 대해서도 한 마디 대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 1장을 다운로드해서 읽어 보세요👇

https://www.dropbox.com/s/rsakrekqfh2kvdk/1%EC%9E%A5%281-22%29-%EC%88%98%EC%A0%95.pdf?dl=0

조정래

위 인터뷰에서 조정래는 네 가지 주장을 했다. 이 발언은 조정래가 반일종족주의를 읽고 쫄았슴을 보여 준다.


첫째, “만약에 이스라엘에서 히틀러를 찬양하거나 그 행위를 편드는 학자가 있다면 어떻게 하겠나? 이스라엘은 지금도 그 범법자들을 잡아다 처단한다. 사형시킨다”

🤪 웃기지 마라. 이스라엘에서 나치의 유태인 학살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면 최고 5년형을 받는다. 👉https://en.m.wikipedia.org/wiki/Laws_against_Holocaust_denial 이런 개구라 협박은 조정래의 소설이 어떤 종류의 물건인지 짐작하게 한다.

😬 게다가 유태인 학살과 식민지 지배는 전혀 다른 것이다. 구약성경을 보라. 이스라엘 사람들은 바빌론 제국의 침략과 지배를 자기 탓으로 돌리지 (=자신이 죄를 지은 결과라고 생각하지) 남의 탓을 하지 않는다.

둘째, “지금이라도 반민특위를 부활시켜서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행한 친일인명사전을 갖다 놓고 민족반역자들 처단을 위한 특별재판소를 개설해야 한다”

😵 친일 인명 사전에 오른 사람은 4,776명. 이들을 모두 남자라고 치자. 4,776명은 1944년 남자 인구 12,521,000명의 0.038%에 해당. 친일파가 되려면 해방되던 1945년에 최소 20세는 되었어야 했을 것, 그러므로 70년 후 2015년 센서스가 파악한 90 (=20+70) 세 이상의 남자 34,000명중의 일부가 친일파. 이 중 0.038%가 친일파라고 가정하면 그 숫자는 13명이 된다. 2019년에는 더 줄었을 것이다. 그런데 좌익들이 만든 친일인명사전에 올랐다고 민족반역자인가? 🤪

2020 10월 12일 업데잇. 남조선에 친일파가 백오십만이나 있다고 그랬다네… 근거가 뭐지? 조정래에게 근거 따위 있을 리 없지만.

세째, ‘반일종족주의’ 책에서 조 작가의 ‘아리랑’ 주요 대목을 지목하면서 ‘조작’이라고 한데 대해 “저는 최선을 다해서 논리적으로 증거를 가지고 썼는데 황당한 소리를 하니까 너무 말이 안 되는 소리고 해서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 웃기고 있네. 도망가지 마라. 아리랑에 나오는 “경찰령”이란 건 없었다고 솔직히 인정하라. 그리고 총살, 대량학살 묘사는 뻥이라고 자백하라. “처단”하겠다고 협박하지 않을테니.

네째, “정신대(위안부) 당사자들이 강제로 끌려갔다는데 끌려간 일 없다는 일본 편을 드는 자들이 사람이냐?”

🤕 이영훈은 끌려간 사람이 없다고 말한 적이 없다. 그런 사례가 알려진 바 없었다고 했다. 그리고 위안부 대부분은 원래 매춘업에 종사하던 사람들일 것이라고 추정했을 뿐. 이건 고소 감이라고 생각된다.

2020.10.20 업데잇. 이런 ⬇️ 인간은 뭐라고 불러야 하나?


Historical Statistics of Korea

스물 두명의 경제학자들이 만든 한국의 장기통계 영어판이 출간됩니다.

낙성대경제연구소가 이십여년간 추진해 온 작업의 결실입니다.

일본 자금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순수히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납세자들께 감사드립니다.

우파정권 좌파정권 모두 아낌없이 지원해 주었는데 좌파 정권 아래서 더 많은 연구비를 딸 수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것이 친일 연구인지는 이 책 사용자들이 판단할 것입니다.

————-

edited by

Myung Soo Cha, Nak Nyeon Kim, Kijoo Park, and Yitaek Park

————-
forthcoming from

Springer Publishing


This book presents economic statistics of Korea in the past three centuries, focusing on the century following 1910. The data, typically time series, rather than cross-sectional, are given in 22 chapters, which refer to population, wages, prices, education, health, national income and wealth, and technology, among others. Rather than simply putting together available data, the contributors to this statistical compendium made adjustments to ensure intertemporal consistency when required. An overview draws attention to discontinuous shifts occurring over time in the quantity and quantity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vailable,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regime changes Korea underwent including the imposition of Japanese rule in 1910 and de-colonization and split into two Koreas three and half decades later. Individual chapters begin with a brief introduction, which helps users better understand and use data. Data sources and references in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are fully provided following the standard Helpburn and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with English translation to assist users identify materials and explore deeper into the wealth of statistical data waiting to be analyzed.